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해외주식 배우자 증여 후, 1년안되서 팔았습니다. 안녕하세요? 깜빡하고.. 25년도부터 1년 보유해야하는 걸 깜빡하고 해외주식을..... 와이프한테 양도했습니다.

안녕하세요? 깜빡하고.. 25년도부터 1년 보유해야하는 걸 깜빡하고 해외주식을..... 와이프한테 양도했습니다. 양도 하고 떨어질까봐 바로 매도했는데요... 1년 보유했어야 하는 걸 이제야 알았습니다...이경우에는 취소가 가능한가요..? 다시 오클로를 사서 오클로 765주를 증여했는데 다시 사서 양도취소가 가능한것인지...이런경우에도 증여신고는 해야하나요..?그리고 와이프가 팔았지만, 이때는 양도소득세는 누가내야하는건가요...?상세한 답변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한국 소득세법 및 증여세법 관련 규정에 따라 귀하가 기술한 해외주식을 배우자에게 증여한 후 1년 미만 매각한 경우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 및 해결방안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증여철회 가능성 및 세무처리

증여취소의 법적 타당성

원칙적으로 철회 불가: 《민법》 제558조에 따르면, 증여 재산이 이전 등기(여기서는 주식 명의 이전)를 완료한 후, 법정 특수 상황(증여자가 증여자를 심각하게 침해하는 경우)을 제외하고는 철회권이 자동으로 소멸됩니다.

재매입은 철회를 구성하지 않으며, 동일한 수량의 주식(OCLO 765주)을 재매입하는 것은 새로운 독립적인 거래에 속하며, 원래의 증여를 소급하여 철회할 수 없습니다.

증여세 신고의무

경우 신고 근거 및 설명 필요 여부

증여 당시 연간 면세 한도(2025년 200만원)를 초과하여 신고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증여 발생 익월 10일 이전에 신고하여야 합니다.

재구매 후 재증여는 새로운 증여 행위로 간주하여 다시 신고해야 하며, 그 가치가 면세 한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신고해야 합니다.

⚠️ 나. 양도소득세 책임 귀속

납세자

실제 매도자 부담: 주식 매도 시 아내 명의로 등록되어 있으므로, 아내가 법정 납세자로서 매도 수익에 대해 양도소득세를 신고해야 합니다.

부부 공동 재산 예외: 해당 주식이 부부 공동 재산(혼인 중 매입)으로 인정될 경우, 세무 당국은 양측에 출자 비율에 따라 세 부담을 분담할 것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세율 계산의 핵심 요소

미리 보기

Code

graph LR

A[보유기간] --> | 1년 이내 | B(세율 30~40%)

A -->|1~2년|C(세율 20~30%)

A --> | 2년이상 | D(세율 10~20%)

보유기간 기산점 : 아내가 증여받은 등록일부터 매도일까지 계산하여 단기 고율(30~40%)을 적용합니다.

원가 산정: 아내의 세금 계산 비용은 증여 당시 주식 시가로 확인되며, 귀하의 원래 매입 가격이 아닙니다.

✅ 3. 보완책 및 리스크 관리

자진신고

증여세 즉시 신고 : 기한 내에 신고하면 20% 가산세(원래 세액×1.2)가 부과되지만, 능동적으로 신고하면 50% 가산세가 감면됩니다.

양도소득세 신고: 아내는 다음 해 5월 종합소득세 신고기간 내에 매각차익을 신고해야 하며, 연체 시 연체료(연 14.6%) + 가산세에 직면하게 됩니다.

분쟁 해결 경로

"고의적이지 않은 조세회피" 입증 : 다음 각 호의 증거를 수집하여 관할 세무서에 진정서 제출 :

✓ 재구매 기록(악의가전자산이외증명)

✓ 매도시세변동자료('하락우려'의 합리성 입증)

✓ 증여세부과표

분할납부 신청 : 세액이 너무 많을 경우 소득증빙에 따라 최대 3년간 분할납부(이자지급)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사. 결론 및 실행 절차

당면 필수 행동 사항

증여세 : 원증여일 주식의 시가를 즉시 계산하여 200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를 보완하여 납부(+가산세 감면신청)합니다.

양도소득세: 아내가 매도 가격과 증여받은 시가 차액으로 신고한 경우, 단기 세율이 적용됩니다.

재증여: 다시 산 주식을 아내에게 증여할 경우, 독립적으로 증여세를 신고해야 합니다.

프로페셔널 어드바이저

세무사에게 바로 연락하여 자료 준비 :

세무사에게 '세무 조정 의견서'를 발행하도록 위임하여 보유 기간 계산의 합리성과 부부 공동 재산의 정의를 입증합니다.

대한세무사협회(☎02-2180-4600)를 통해 국제 자산에 정통한 전문가를 매칭합니다.

※ 세무 기관이 조세회피를 인정하면 최대 40%의 가산세를 추징할 수 있으니 반드시 신중하게 처리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