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사랑하는 사람한테 헤어지자고 하나요? 남친이 지독한 회피형인데 전여자친구랑은 몇년 만나는 동안 헤어지잔소리 한번도 안했으면서저를

남친이 지독한 회피형인데 전여자친구랑은 몇년 만나는 동안 헤어지잔소리 한번도 안했으면서저를 더 사랑하고 제게 더 잘해주고있다고 말하면서 제겐 벌써 몇번을 헤어지자고 했습니다 그래놓고 헤어지지도 못하고 울고.. 나중엔 잘못했다고 하면서 붙잡고요자기가 잘못해놓고 자기가 바뀔 자신이 없다며 헤어지자한거고제가 느끼기엔 감정적으로 좀 복잡하고 힘든상황이 오면 언제나 도망가고 피하고 헤어지자하는게 일상같은데그럼 전여자친구랑은 트러블이 없었고 그만큼 더 사랑했고 잘 맞았다는 소리인데 저를 더 많이 의지하고 사랑한다는게 말이되나요? 그냥 제 감정을 만만하게 별거아닌걸로 생각하는 느낌이에요전여친은 남친보다 연하였고 지금 저와 남친은 제가 연상이에요안그래도 애같은데 관계를 가볍게 생각하는것같아 더 애같고 생각이 많아져요 연을 그리고 옆사람을 소중하게 생각도 못하고..

말씀하신 내용을 읽고 나니 정말 혼란스러운 감정이 느껴졌어요. 사랑한다고 하면서 헤어지자고 쉽게 말하고, 또 본인이 울고 붙잡고… 감정적으로 롤러코스터를 타고 계신 것 같아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질문자님은 그 마음을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계시고요. 그런 진심이 느껴져서 마음이 아픕니다.

우선 정리해서 보면,

  1. 그는 회피형 애착 성향이 강하고,

  2. 문제가 생기면 ‘해결’보다 ‘도망’이 먼저 떠오르며,

  3. 과거 연애에서는 그런 일이 없었는데 현재는 자주 ‘헤어지자’는 말을 반복한다,

  4. 그리고 자신이 더 사랑한다면서도 계속 상처를 준다는 점에서 모순이 느껴지는 거죠.

질문자님의 질문은 이거예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회피형의 마음은 사랑의 크기보다도, 상대에 따라 더 ‘불안정하게’ 반응할 수 있어요.”

즉, 질문자님이 그에게 더 가까이 다가가고, 감정적 진심을 많이 건네주니까 그게 오히려 회피형인 그에게는 감당하기 힘든 불안감으로 작동했을 수 있어요.

전여친과는 연하였고, 덜 표현했고, 감정적 거리도 유지됐기에 ‘도망칠 일’도 덜했을 수 있죠.

지금은 질문자님이 그보다 조금 더 성숙하고 깊은 사랑을 주니까,

그는 오히려 더 “내가 이걸 감당할 수 있을까?”, “내가 이 사랑에 자격이 있나?”란 자기 의심에 빠지고,

그 무게에서 벗어나고 싶어서 “헤어지자”는 회피를 반복했을 가능성이 커요.

즉, 사랑의 ‘크기’가 작아서가 아니라, 사랑의 ‘깊이’가 두려운 거예요.

그리고 안타깝지만,

그렇다면 질문자님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1. 그의 말보다 ‘행동’을 보세요.

  2. 사랑은 말이 아니라 책임감과 일관성입니다.

  3. 지금 그는 감정이 흔들릴 때마다 도망치고 있죠.

  4. 아직은 사랑을 ‘책임질 수 없는 상태’일 가능성이 커요.

  5. 자기 감정을 지켜야 해요.

  6. “내가 사랑을 주는 만큼, 최소한의 안정은 받아야 한다.”

  7. 이 기준은 꼭 지켜야 질문자님의 마음이 너무 소모되지 않아요.

  8. 그에게 너무 기대기보단, 자신의 중심을 다시 세워보세요.

  9. 회피형은 ‘나를 끌어당기는 사람’보다, ‘자기 삶이 안정된 사람’에게 더 안정감을 느끼는 경우도 많습니다.

  10. 다시 말하면, 오히려 감정적으로 거리를 조금 두었을 때 자신이 도망친 걸 후회하고 돌아오기도 해요.

지금의 관계는 ‘이 사람이 왜 이런 행동을 하는가’를 넘어서,

“내가 이 관계 속에서 나를 얼마나 지킬 수 있는가”를 돌아봐야 할 때일 수도 있어요.

질문자님은 충분히 깊고 진심이 있는 사람입니다.

그 깊이를 감당하지 못하는 누군가 때문에,

내 마음의 소중함을 의심하지 마세요.

필요하시면 언제든 이야기해주세요.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채택 부탁드립니다.

채택을 하시면 내공의 50%는 질문자님께 돌아가고, 제가 받는 모든 내공은 어려운 이웃에게 전액 기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