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mg img
image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됩니다

연금저축계좌, isa 있어요 1. 연금 저축 계좌에 600만원 납입 시 연말정산에서 99만원 세액공제를

1. 연금 저축 계좌에 600만원 납입 시 연말정산에서 99만원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제가 2월말까지 일하다 퇴사하여 지금은 실업급여를 받고 있는 상태입니다. 결과적으로 무직이고, 연 소득이 4000만원이 넘지 않는데, 이런 경우에는 연말정산 때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나요? 2. 연금저축 계좌와 isa를 개설하여 납입 후, 국내 상장 미국etf에 투자하려고 합니다.  KODEX S&P500, KODEX나스닥100, KODEX200 세가지 종목에 투자하려고 하는데, 각각의 종목들을 연금저축계좌와 isa계좌에 분배를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1️⃣ 연금저축계좌 세액공제 – 무직자도 가능할까?

  • 세액공제는 “납부한 소득세가 있어야” 적용됩니다.

  • 질문자님처럼 **2월 말 퇴사 + 현재 무직(실업급여 수령 중)**이라면

  • → 올해 소득세 납부 자체가 적거나 없을 수 있으므로 세액공제 효과도 미미하거나 아예 없음.

정리하면

  • 연금저축계좌에 600만 원을 납입하더라도

  • 올해 근로소득이 적어 납부한 소득세가 거의 없다면 최대 99만 원 공제는 못 받습니다.

  • 내년 이후 다시 소득이 생기면 그때 납입을 집중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2️⃣ 연금저축/ISA 계좌로 ETF 투자할 때 분배 전략

먼저 간단 정리:

종목

특징

비고

KODEX S&P500

미국 대형주

미국 증시 대표지수

KODEX 나스닥100

미국 기술주 중심

성장주 중심, 변동성 큼

KODEX 200

국내 대표 200종목

한국 증시 기반

따라서,

“미국 증시수익이 좀 더 안정적이라고 생각한다면

KODEX200 비중은 줄이고 S&P500 + 나스닥100 위주로 구성하는 게 좋습니다.”

추천 비중 예시 (중립 기준):

  • 연금저축:

  • KODEX S&P500 50%,

  • KODEX 나스닥100 30%,

  • KODEX200 20%

  • ISA계좌:

  • 나스닥100 50%,

  • S&P500 40%,

  • KODEX200 10%

연금저축은 안정적 자산 배분을, ISA는 단기/수익성 고려해서 배분하면 좋습니다.

참고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