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금저축계좌 세액공제 – 무직자도 가능할까?
세액공제는 “납부한 소득세가 있어야” 적용됩니다.
질문자님처럼 **2월 말 퇴사 + 현재 무직(실업급여 수령 중)**이라면
→ 올해 소득세 납부 자체가 적거나 없을 수 있으므로 세액공제 효과도 미미하거나 아예 없음.
✅ 정리하면
연금저축계좌에 600만 원을 납입하더라도
올해 근로소득이 적어 납부한 소득세가 거의 없다면 최대 99만 원 공제는 못 받습니다.
내년 이후 다시 소득이 생기면 그때 납입을 집중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2️⃣ 연금저축/ISA 계좌로 ETF 투자할 때 분배 전략
먼저 간단 정리:
종목 | 특징 | 비고 |
KODEX S&P500 | 미국 대형주 | 미국 증시 대표지수 |
KODEX 나스닥100 | 미국 기술주 중심 | 성장주 중심, 변동성 큼 |
KODEX 200 | 국내 대표 200종목 | 한국 증시 기반 |
따라서,
“미국 증시수익이 좀 더 안정적이라고 생각한다면
KODEX200 비중은 줄이고 S&P500 + 나스닥100 위주로 구성하는 게 좋습니다.”
추천 비중 예시 (중립 기준):
연금저축:
KODEX S&P500 50%,
KODEX 나스닥100 30%,
KODEX200 20%
ISA계좌:
나스닥100 50%,
S&P500 40%,
KODEX200 10%
※ 연금저축은 안정적 자산 배분을, ISA는 단기/수익성 고려해서 배분하면 좋습니다.
참고 블로그:
노후 준비와 절세를 동시에 고려할 때,IRP(개인형 퇴직연금), 연금저축,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는각기 다른 장점과 조건을 가진 금융 상품입니다.2025년 현재, 이 세 가지 계좌의 특징과 활용법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IRP(개인형 퇴직연금)가입 대상: 근로자, 자영업자, 공무원 등납입 한도: 연간 1,800만 원세액공제 한도: 연금저축과 합산하여 최대 900만 원세액공제율:총급여 5,500만 원 이하: 16.5%총급여 5,500만 원 초과: 13.2%운용 상품: 예·적금, 펀드, ETF 등연금 수령 조건: 만 55...
one-half.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