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환불 가능 여부
전자상거래법 제17조(청약철회 등)
판매자가 제품의 주요 정보를 허위로 기재한 경우, 소비자는 상품 수령 후 3일 이내에 청약철회(환불)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단, 사용자님이 한 달 전에 구매했다고 하셨으므로, 일반적인 청약철회 기간(3일)은 이미 지났습니다.
그러나 **제품이 전혀 다른 모델(6S → 7)**이라면, 이는 사기 행위로 볼 수 있어 경찰 신고나 민사 소송을 통해 환불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당근마켓 정책
당근마켓은 개인 간 거래(C2C)를 중개하므로, 플랫폼 차원에서 직접적인 환불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반드시 판매자와 직접 협의하여 환불 여부를 결정해야 합니다.
판매자가 협조하지 않을 경우, **당근마켓 고객센터(1588-2532)**에 신고하여 계정 제재 등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2. 배터리 구매 비용 보상
추가 비용 보상 가능성
판매자의 과실로 인해 발생한 추가 비용(배터리 구매 비용)은 배상 청구가 가능합니다.
단, 이는 민사 소송을 통해 해결해야 하며, 증거 자료(대화 기록, 결제 영수증 등)를 확보해야 합니다.
소액 사건으로 소액사건심판제도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소송 비용 약 10만 원 내외).
3. 환불 절차
판매자와 협의
당근마켓 채팅 또는 전화로 제품 오배송 사실을 알리고 환불 요청합니다.
예시:
만남 장소 협의
환불 시 제품을 반품해야 하므로, 판매자와 직접 만나 교환/반품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거리가 먼 경우 택배 거래를 제안하되, 선불 택배로 보내고 송장 번호를 공유하는 것이 좋습니다.
증거 자료 보관
모든 대화 내역, 제품 사진, 결제 영수증 등을 스크린샷이나 파일로 저장해 두세요.
향후 법적 분쟁 시 유용합니다.
4. 추가 조치 방안
경찰 신고
판매자가 고의로 허위 매물을 올린 것으로 판단되면 사기죄로 신고 가능합니다.
경찰서 방문 또는 사이버수사국(https://cyberbureau.police.go.kr) 온라인 신고 활용.
소비자원 상담
한국소비자원(1372)에 전화해 중재 요청을 할 수 있습니다.
단, 개인 간 거래 특성상 처리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요약
판매자와 협의해 환불 요청 (직접 만남 또는 택배 반품).
추가 비용 배상은 민사 소송으로 진행 가능.
사기 의심 시 경찰 신고 고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