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가 사실인 증거
1. 피해자들의 구체적이고 일관된 증언이 있습니다.
한국, 중국, 필리핀, 인도네시아, 네덜란드령 동인도 등 다양한
국가의 피해 여성들이 전쟁 당시 겪은 구체적인 상황을 증언했습니다.
2. 일본군·관헌의 공식 문서에서 확인됩니다.
일본 국립공문서관, 방위성 방위연구소 자료, 외무성 문서 등에서
위안소 설치 지시, 운영 지침, 이동 계획 등이 확인됩니다.
1938년 일본 육군성 ‘위안소 설치 지침서’와 위안부 모집 관련 통첩 문서에서,
일본군이 모집·수송·관리 과정에 직접 관여한 사실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1940~45년 사이의 군·경찰 보고서에서 위안부의 수, 위치, 관리
규정 등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3. 해외 자료 및 증언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 네덜란드 정부 보고서, 연합군 심문기록(POW 인터뷰) 등에 위안부 제도의 실상이 기록되어 있고, 특히 ‘BC급 전범
재판’(1946~48년)에서 인도네시아, 중국 등지의 위안소 운영자와 일본군
장교가 전범으로 처벌되었습니다..
4. 사진·영상 자료가 있습니다.
일본군이 위안부를 동원·관리하는 장면이 담긴 사진, 위안소 내부를 찍은
사진이 존재합니다.
5. 전쟁범죄 재판 및 국제기구도 인정하였습니다.
1993년 일본 정부의 ‘고노 담화’에서 군의 관여와 강제성을 공식 인정하였고
유엔 인권위원회·국제노동기구(ILO) 등에서 일본군 위안부를 ‘전시 성노예’로
규정하고 일본에 사과와 배상을 권고하였습니다.
2000년 도쿄 여성국제전범법정(민간 국제법정)에서도 강제동원과 성폭력
사실을 판결문에 명시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