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자님, 정말 꼼꼼하게 체크해보시고 준비하고 계셔서 너무 멋지세요
이사 일정, 전출·전입신고, 그리고 대출 조건까지 겹치면
헷갈릴 수밖에 없는 상황인데요.
질문하신 내용 중심으로 하나하나 차분하게 설명드릴게요!
✅ 질문 요약
10/10 현재 집 전세 만기 → 전출 예정
10/17 새 집 매매 계약 → 전입 예정
중간 7일 동안 단기숙박(호텔 등) 예정
전출 → 전입 사이 공백 기간 전입신고 안 해도 되는지?
부모님 댁에 전입신고하면 유주택자로 간주될까 걱정됨
✅ 1. 전출 → 전입 사이에 전입신고 안 해도 되나요?
네, 가능합니다!
전입신고는 실제 거주지가 생겼을 때 하시면 됩니다.
즉, 중간에 호텔이나 단기 숙소에서 지내는 동안은 전입신고를 하지 않아도 전혀 불이익 없습니다.
법적으로도 전입신고는 ‘새로운 실제 거주지’가 있을 때 하는 것이므로
공백 기간에 전입신고를 안 하는 건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 2. 그럼 부모님 집에 전입신고는 왜 조심해야 할까요?
질문자님이 말씀하신 대로,
**일부 금융기관(특히 카카오뱅크, 토스 등 인터넷은행)**에서는
대출 심사 시 전입 상태만 보고 ‘유주택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가 있어요.
따라서 7일만이라도 부모님 집에 전입신고는 피하시는 걸 강력히 권장드려요!
✅ 3. 일주일 정도 전입신고 없이 지내도 괜찮을까요?
물론 괜찮습니다!
전입신고는 ‘의무’이지만,
실제 거주지가 있어야 신고할 수 있는 것이므로
호텔·임시숙소 등에 있을 땐 하지 않아도 전혀 문제되지 않아요.
행정적으로도 불이익 없고,
주택대출 조건, 무주택 유지 요건을 생각하신다면
전입신고를 안 하는 쪽이 오히려 더 안전합니다.
✅ 마무리 정리
✅ 10/10 전출 → 10/17 새 집 전입 전까지는 ‘무전입 상태’ 유지 OK!
✅ 부모님 집 전입신고는 하지 마세요. → 대출에 영향 가능성 있음
✅ 새 집 입주일(등기일 or 실입주일)에 전입신고 진행하면 문제 없습니다
질문자님처럼 미리 꼼꼼히 준비하시면
이사도, 대출도, 전입신고도 문제없이 잘 처리되실 거예요!
새로운 보금자리에서 좋은 일만 가득하길 진심으로 응원드립니다 ✨
자세한 전입신고 및 유의사항은 아래 블로그에서 더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