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전략은 두 가지예요. 첫째, 학원 없이도 가능한 ‘무자본 포트폴리오’와 현장경험(보조·체험·동아리)을 바로 쌓기. 둘째, 대학 진학은 장학과 실무 중심 전형을 노리되, 지금은 국어를 포함한 교과 기본과 글로 설명하는 힘을 키워 면접·자기소개서 경쟁력을 만드는 것.
메이크업은 손기술만이 아니라 콘셉트를 읽고 고객 니즈를 언어로 풀어 설득하는 과정이 커요. 입시도 마찬가지예요. 실기·면접·서류에서 왜 이런 디자인을 했는지, 어떤 자료를 참고했는지 근거 있게 말해야 하죠. 그래서 스스로 읽고 생각하는 힘이 핵심입니다. 인강을 틀어놓는다고 실력이 늘지 않아요. 지문·가이드·작품사진을 직접 읽고, 본인이 언어로 정리해야 머리에 남습니다. 국어 공부도 같아요. 읽고 이해한 것을 자신의 말로 재구성하는 훈련이 결국 면접 답변, 작업노트, 포트폴리오 설명으로 이어집니다.
평일 루틴: 학교 과제 끝내고 취침 전 30~40분은 ‘포트폴리오 한 장’에 씁니다. 오늘 본 레퍼런스 1개를 고르고 콘셉트, 컬러 조합, 질감 표현 계획을 글 5줄로 적은 뒤 페이스차트에 연출 초안 스케치를 해두세요. 다음 날에는 그 초안을 보정하고, 주 2회는 실제 얼굴(본인·가족·친구)이나 손등에 파트별 연습 후 전·후 사진을 찍어 저장합니다. 사진 밑에는 사용 제품, 묘사 포인트, 개선점 3가지를 문장으로 남기세요.
주말 루틴: 2~3시간 블록으로 모의 촬영을 합니다. 자연광 가까운 창가에서 베이스·아이·립 각각 클로즈업 3컷, 풀샷 1컷을 목표로 찍고, 무료 편집앱으로 밝기만 가볍게 보정해 파일명을 날짜_콘셉트로 저장하세요. 지역 도서관·청소년센터 공지에서 뷰티·진로 체험, 사진·색채 무료 특강이 열리면 신청해 보세요. 웨딩샵·스튜디오에 주말 보조 체험 메일을 보낼 때는 간단한 자기소개, 가능한 시간, 사진 3장, 위 포트폴리오 링크를 담아 정중히 문의하면 됩니다. 무급이라도 안전·시간·교통비 조건을 분명히 확인하세요.
진학 로드맵: 1학기 말까지 무자본 포트폴리오 20~30컷을 모읍니다. 동시에 장학제도와 교내·교외 대회, 실무 중심 전형(학생부·면접·실기)을 학교 진로선생님과 체크하세요. 등록금이 걱정된다면 실무 경력→진학 순서도 현실적인 선택입니다. 매장 BA, 웨딩·촬영 보조로 경력을 쌓아도 늦지 않아요. 중요한 건 지금부터 기록과 결과물을 꾸준히 만드는 겁니다.
적용 점검은 세 가지로 보세요. 첫째, 포트폴리오 생산량: 주 5장(스케치·실습·리터칭 포함) 달성 여부. 둘째, 시간 관리: 평일 30~40분 집중 유지와 주말 2~3시간 블록 실습 이행률. 셋째, 설명 가능 여부: 본인 작업 1장을 60초 안에 콘셉트·근거·개선점을 말로 설명할 수 있는지.
오늘부터 바꿀 한 가지는 이것입니다. 매일 밤 30분 ‘포트폴리오 한 장’을 남기세요. 남들보다 늦는 게 아니라, 질문자님만의 속도로 단단히 쌓아가는 중이에요. 충분히 해낼 수 있어요.